水 水 천가 壬과 癸를 나타내며 양과 음이다. 지지에서는 亥수가 양이고 子수는 음이다. 숫자로는 1과 6이다. 방위는 북쪽, 계절은 겨울, 인체기관은 신장과 방광, 색깔은 검은색이다. 智를 주관한다 사주에 물이 많은 경우 종족번식의 본능이 강하다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2.06
우리 몸 속의 음양 오행 우리의 전통적 음식 문화 속에는 음양오행 사상이 짙게 깔려 있다. 음양오행이란 모든 사물 현상은 서로 대립되는 속성을 가진 음과 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호 조화를 이룬다는 동양 철학을 말한다. 또한 우주의 기초를 이루는 다섯 가지 물질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가 서..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30
음양과 정신 음양과 정신 만물은 하늘의 기운(오운)과 땅의 기운(육기)을 동시에 받고 생활합니다. 인간은 음식을 먹음으로써 삶을 영위하게 되는데 음식을 먹으면 기혈(氣血)이 생성되고, 이 기혈을 바탕으로 정신(精神)이 생성됩니다. 이때의 정신은 사람의 의식을 뜻하는 것뿐만 아니라 형신(形..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28
낙서와 피타고라스 역의 창시자, 태호복희 역易의 최초 창시자는 태호복희이다. 공자는 <주역>에서 복희씨가 처음으로 팔괘를 그렸다고 말한다. 古者包犧氏王天下也에 仰則觀象於天하고 俯則觀法於地하며... 近取諸身 하고 遠取諸物하여 於是에 始作八卦하여...[주역]<계사전>) [환단고기]에는 복..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23
오행의 법칙 오행의 법칙 만물의 존재법칙이자 시간의 순환법칙이 음양陰陽입니다. 음과 양이 서로 순환하면서 시간의 큰 틀을 이루게 되는데,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양陽의 시간대도 둘로 나눌 수 있고, 음陰의 시간대도 둘로 나눌수 있습니다. 하루를 보면, 크게 낮과 밤으로 나뉘지만, 낮은 아..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21
오운론(五運論) 오운론(五運論) 오늘은 제2장 오행과 운에서 제2절 오운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오운(五運)론은 다시 오운의 개념과 방위, 오운과 물, 운의 대화작용, 오운의 계시, 수화일체론과 탈레스의 사상 등 다섯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운의 대화작용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18
은 수(數)가 아니다. 은 수(數)가 아니다. 1은 수(數)일까요? 상수학에서 1은 수가 아닙니다. 만물을 낳은 근원(질료)일 뿐입니다. 그래서 1을 태극이라고 합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1) 위의 구절은 구약성서 창세기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인데 태초(太初)는 천지가 나뉘어지기 이전..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1.08
정역正易’과 김일부 정역正易’과 김일부 우주의 변화 이치를 담고 있는 역(易)은 천지만물과 인간이 나아갈 법도를 밝히고 있다. 역은 동방의 성철(聖哲)들에 의해 그 맥이 이어져 왔다. 선천의 역인 복희팔괘와 문왕팔괘를 이어 등장한 제3의 역, 후천의 역이 정역(正易) 팔괘다. 100여 년 전, ..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0.23
얻기 위해 비우자 얻기 위해 비우자 Only let me make my life simple and straight, like flute of reed for thee to fill with music. 갈대피리처럼 저의 삶을 단순하게 하여 주소서. 비어 있는 피리를 채우듯 그대의 음악으로 가득 채울 수 있도록‥. 인도의 위대한 시인 타고르의 '키탄잘리'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자신을 비운다..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0.21
도대체 개벽이란 무엇인가? 개벽이란 무엇인가? 개벽開闢은 한자로 열개 열벽자로서, '새로운 천지가 열리는 것'을 말한다. 개벽은 천개지벽天開地闢의 준말로서, 하늘과 땅이 새로 열리는 것을 말한다. 개벽은 아무 근거 없이 막연히 오는 것이 아니라, 우주가 순환하는 이치에 의해서 오는 것이다. 개벽은 자연이 .. 종교와철학/동양철학 2015.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