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전통풍수를 과학적 이론으로 뒷받침한 국내 첫 공학박사가 탄생한다.
영남대 대학원 응용전자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채양(49·대구도시개발공사 부장·왼쪽)씨와 최주대(57·경상북도 산림소득개발원장·오른쪽)씨는 묘의 위치와 형상이 후손에게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학위논문으로 다음달 22일 영남대에서 공학박사(응용전자학) 학위를 받게 된다.
이들이 지난 3년간 준비한 박사학위 논문은 ‘묘소의 입수상태와 후손번성’(박채양)과 ‘산비탈에 있는 묘소와 자손번성’(최주대)으로 최근 논문심사를 통과했다.
이들은 17세기 이후 조성된 묘 가운데 근거가 분명한 전국 50개 가문의 묘소를 선정해 박씨는 산봉우리에 위치한 묘소를, 최씨는 산비탈에 위치한 묘를 답사해 토목측량법으로 형상을 관측했다. 관측 결과에 따라 묘의 기본유형을 데이터로 정리하는 데만 꼬박 1년반이 걸렸다. 이들은 다시 1년반 동안 각각의 묘에서 5대에 이르는 후손 중 기혼남성 2800여명의 번성상태를 면밀히 조사·검토하고 그 데이터를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SPSS)으로 분석해 전통 풍수이론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들은 논문에서 선대 묘소의 위치나 형상이 후대의 자손 번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해냈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그의 논문에서 “산봉우리에 묘를 써서 묘 꼬리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장자나 장손자에게 아들이 없을 확률이 높고, 5대 이내 그 가문이 절손됐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최씨도 “경사가 15% 이하인 정상 묘의 경우에는 5대손인 기혼남성의 수가 34명이었지만 경사가 30% 이상인 산비탈 묘소의 경우 절반 수준인 18명으로 급감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논문을 지도한 이문호(신소재 공학부·가운데) 교수는 “전통풍수이론을 과학적 논리전개와 검증을 통해 제도학문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며 “인문학의 영역에 응용과학적 방법론을 접목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사후세계,신의 세계, 태을주 수행,다가올 미래, 개벽에 대해서알고 싶으신 분은 소책자를 신청해주세요 => 클릭
ilsimsudo@hanmail.net 010-4277-1922 곰선생 |